반응형

돈에 관한 스터디/세금 3

상속과 관련된 법률 상식 쉽게 알아 보기

1. 용어 정의 : 상속세는 민법 중 상속에 관한 규정을 따르고 있어서 법률 용어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용어부터 이해하고 넘어가면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다. 1) 피상속인 : 사망한 사람 또는 실종선고 받은 사람 2) 상속인 : 재산을 상속받을 사람 3) 상속개시일 : 사망일 또는 실종선고일 2. 상속 순위 : 유언으로 상속인을 지정한 경우에는 유언상속이 우선하며, 유언이 없는 경우에는 민법에서 정한 순위에 따른다. 1) 민법상 상속 순위 우선 순위 피상속인과의 관계 상속인 해당 여부 1순위 직계비속, 배우자 2순위 직계존속, 우자 직계비속이 없는 경우 상속인이 된다 3순위 배우자 직계존비속이 없는 경우 배우자가 단독 상속인이 된다 4순위 형제자매 1,2,3 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이..

세금의 종류

우리들은 세금을 내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면 자연스럽게 많은 세금을 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관심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당연히 내야 하니까. 어쩔 수 없으니까. 귀찮으니까. 그런데 알고 계시나요? 이런 귀차니즘은 부자들보다 가난한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요. 세법이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는 절세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부자입니다. 혹시 그들은 부자이니까 당연히 절세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나는 부자가 아니라서 세금에 관심이 있어도 절세의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절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향후에 공부할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어떤 세금들이 있는지 알아야 절세 공부도 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세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

2년 이상 보유하지 않고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 적용 받는 법

■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2년 이상 보유하지 않아도 1세대 1 주택 비과세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을까? 적용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잘 읽어 보고 시간, 돈 모두 손해 보지 맙시다!!^^) 양도일 현재 1세대가 국내에 1채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해당 주택의 보유기간이 2년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지방으로 전근을 가게 되거나 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는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2년 이상 보유하지 않아도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사유가 있어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을 채우지 못했는데도 공부상의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만을 보고 양도소득세를 고지한 경우에는 그 사유를 입증하여 비과세 받도록 하자. 자 그럼 이제부터 위에서 말하는 비과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