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경제 금융 용어 공부 5번째 시간입니다!
< 고정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고정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이 일정한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빌리면서 연 12%의 고정 금리를 적용받았다면, 매달 1만 원의 이자를 내야 합니다. 1년간 총 12만 원의 이자를 내야 하는 것이죠.
고정 금리는 금리가 변동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앞으로 시중 금리가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이자율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고정 금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리합니다.
- 미래의 금리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싶을 때
-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고 싶을 때
예를 들어, 집을 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 고정 금리를 선택하면 향후 금리가 오르더라도 이자 부담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부해야 하므로, 가계 예산을 계획하기 쉽습니다.
반면, 고정 금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불리합니다.
- 금리가 낮은 시기에 대출을 받으면 불리할 수 있습니다.
- 금리가 오를 때는 변동 금리보다 이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2%인 시기에 고정 금리 5%의 대출을 받았다면, 금리가 낮아도 5%의 이자를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고정 금리는 변동 금리 대출 이자보다 높은 금리로 설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변동 금리 대출의 이자 부담보다 더 큰 부담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 금리 대출을 받을 때는 자신의 상황에 맞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기준금리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는 것이 본인에게 유리합니다.
고정 금리 대출의 장점과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점 | 단점 |
미래의 금리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 금리가 낮은 시기에 대출을 받으면 불리할 수 있다. |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부할 수 있다. | 금리가 오를 때는 변동 금리보다 이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
가계 예산을 계획하기 쉽다. |
고정 금리 대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자신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세요.
- 향후의 금리 전망을 고려하세요.
- 대출 조건을 꼼꼼히 비교하세요.
반응형
'돈에 관한 스터디 >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반드시 꼭 알아야 하는 경제 금융 용어 "고통 지수" (0) | 2023.11.15 |
---|---|
1분 만에 초보도 경제 전문가처럼 미국 금리 예측하는 방법 (1) | 2023.11.11 |
#4. 경제 금융 용어 고용률이란? (0) | 2023.11.06 |
#3. 꼭 알아야 하는 경제 금융 용어 - 경상 수지 편 (0) | 2023.11.05 |
#2. 경기 동향 지수?? 인공 지능 도와줘!! (0) | 2023.11.04 |